본문 바로가기

여행, 항공, 숙박688

[ 용어 ] CRS(Computerized Reservation System)란 가. CRS(Computerized Reservation System)란?전산 단말기를 통해 항공편의 예약, 발권은 물론 항공 운임 및 기타 여행에 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System을 말한다. 과거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복잡한 예약, 발권 업무를 CRS가 대체하면서 여행사 직원들은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업무 수행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항공여객의 증가와 맞물려 그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다. 나. CRS의 시작CRS의 시작은 1964년 American Airlines(AA)이 사내 항공예약 시스템의 전산화를 목적으로 IBM과 개발한 SABRE(Semi Automated Business Research Environment) 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1970년대에 들어 전산화된 항공예약 시스템이.. 2018. 9. 12.
[ 용어 ] Revalidation Revalidation이란 E-Ticket 발권 후 Fare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단순한 날짜 변경이나 편명 변경 시 항공권을 재발행하지 않고 변경된 PNR의 정보와 기존 발권된 E-Ticket Data Base를 일치시키는 작업이다.Booking Class 및 구간이 상이한 경우에 Revalidation은 원칙적으로 불가하며, 항공사마다 허용 여부가 상이하다. 나. Revalidation이 가능한 경우기본 조건① 항공사가 Revalidation 기능을 허용해야 한다.② 적용된 운임이 예약 변경 (Revalidation)을 허용해야 한다.③ 이름, 운임, Tax, 항공사가 동일하다.④ 여정이 동일하다.⑤ E-Ticket coupon status는 O (Open for use) 또는 A (Airport C.. 2018. 9. 12.
[ 용어 ] 항공 커미션 / 풀컴,오버컴,제로컴 / VI (볼륨 인센티브) 아래 글에 설명이 잘 되어 있네요. 항공 커미션 / 제로컴,오버컴,풀컴, VI (볼륨 인센티브) 차례대로 읽어보시면 대충 이해가 되네요.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1216g0&logNo=205702283&beginTime=0&jumpingVid=&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 http://www.travel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418 예시)http://www.galileo.co.kr/airline/AirFare_View.aspx?Idx=9306&Ref=11611&Res=0&Rev=0&Pg=1 2018. 9. 11.
[ 소식 ] 메타-OTA 결합된 비즈니스 모델 나올 것 토파스여행정보(주)가 향후 메타서치와 OTA의 접점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나올 것을 예측했다. 지난 14일 국내외 43개 항공사 관계자 9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토파스 에어라인 쇼케이스(TOPAS Airline Showcase)’에서는 온라인 마켓 트렌드와 토파스 주요 기능을 소개했다. 토파스는 쇼케이스를 통해 기본적인 온라인 시스템의 개요와 메타 서치(Meta Search), 메타 부킹(Meta Booking)에 대한 흐름, 국내 오픈 마켓 업체와 OTA 현황 등을 포함한 온라인 시장 트렌드를 소개했다. 특히 온라인 시장 트렌드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했다. 토파스에 따르면 지난해 여행 및 예약서비스 온라인 거래액은 약 11조3,000억원(통계청 자료 인용)으로 그중 모바일 비중이 53.5%로 .. 2018. 9. 11.
[ 소식 ] 항공권 시장 / 메타 서치(Meta Search) / 메타부킹(Meta Booking) 이전 기사지만 재미있는 글이라 공유 했다. 출처 : http://www.gtn.co.kr/mobile/news_view.asp?news_seq=63542작성일 : 2015-11-23 ==================================================== 최근 항공권 시장에서 메타 서치(Meta Search)가 화제다. 메타서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다른 여러 그룹의 서치 엔진을 돌아다니며 검색된 정보를 한꺼번에 보여준다. 항공권 시장이 여행사들의 개별 판촉 전쟁을 넘어서 광범위한 통합 판매 마케팅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음을 암시한다. 조만간 메타서치를 넘어서는 메타부킹(Meta Booking) 출시도 예정돼 있다. IT 시장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보수적인 한국 여행 시장에도 새로운 시스.. 2018. 9. 11.
[ 용어 ] 전자 항공권 발행확인서 (e-Ticket Passenger Itinerary Receipt, ITR 여정 발급 확인서 ) 전자항공권은 종이 항공권과는 달리, 항공사 지점을 방문하실 필요 없이 에어부산 홈페이지나 전화로 항공편을 예약하신 후, 신용카드로 결제하시면 손쉽게 예매하실 수 있습니다.항공권의 정보가 항공사의 시스템에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분실이나 훼손에 대한 염려를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구매하신 항공권의 세부 정보는 E-MAIL이나 Fax로 송부되어 여정안내서(Itinerary/Receipt)를 통하여 확인하실 수 있으며, 인터넷으로 신용카드 영수증 (매출전표)도 발행됩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면 좋다.https://blog.fltgraph.com/2016/05/24/eticket/ 2018. 9. 11.
[ 용어 ] 마일리지 제도 항공기를 이용하는 승객들을 회원으로 확보하여 자사항공편을 이용 회원의 이용실적을 적립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본단위는 비행거리인 "마일(mile)"입니다. 각 항공사에서 해당 항공사를 이용할때마다 마일리지를 제공하고, 마일리지 고객들에게 특별한 혜택과 우선적인 서비스를 드리며, 적립된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및 좌석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항공기 탑승시 정해진 마일제공과 함께 항공사와 제휴한 카드사, 호텔 등과 제휴한 타 항공사의 항공편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각 제휴사별로 소정의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단,이용하시는 항공권의 예약등급(클래스)에 따라 적립유무와 적립 %가 상이하니 꼭 구입하실 항공권의 마일리지 적립에 대한 부분은 구매전에 항공권"규정보기"에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2018. 9. 10.
[ 용어 ㅣ 중간체류 탑승자가 비행기를 타고 목적지가 아닌 중간 경유지에 내려 그 도시에서 24시간 이상 체류하는 것을 스탑오버(Stop Over) 또는 중간 체류라고 칭합니다. 중간 경유지에서 잠깐 머물다가 다른 비행 편으로 갈아타는 것은 스탑오버가 아닌 '환승(Transfer) 또는 경유(Transit)'라고 합니다. 스탑오버 이용시, 항공사와 요금별로 스탑오버 가능/불가능 여부가 다르므로 반드시 규정을 확인하셔야 하며 무료 또는 추가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항공권을 구매완료 하시기 이전까지 결정하시고 담당자를 통해 일정을 변경하시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승(Transfer) 또는 경유(Transit)의 차이 Transfer (환승) 환승이란, 중간 경우지에서 항공 편명이 다른 비행기로 갈아타는것을 .. 2018. 9. 10.
[ 용어 ] 최대체류기간 각 항공권마다 유효기간,즉 여행 개시일로부터 최대 목적지에서 체류할수 있는 항공권의 기간이 정해져 있으며 항공요금에 따라 기간은 모두 다릅니다. 예를들어,유효기간이 1개월인 항공권은 출발일로부터 1개월 안에 귀국편을 이용하셔야 한다는 뜻이며 , 날짜변경 역시 1개월 이내에서만 가능합니다. 또한 구입 완료하신후에는 항공권 유효기간 연장은 불가능합니다. 201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