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산을 진행시켜 본다.
----------------------------------------------------------------------------------------
;;이 장을 읽기 전에 6장을 다시 한번 훑어보길..
1. 회계의 순환과정
회계의 순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① 거래의 식별 및 분석
② 분개장의 분개
③ 총계정원장의 각 계정에 전기
④ 수정전 시산표 작성
⑤ 분개장에 수정분개 및 계정에 전기
⑥ 수정후 시산표 작성
⑦ 재무재표 작성
⑧ 마감분개 및 전기
⑨ 결산후 시산표 작성 (<- 이것은 의무 사항이 아니다. )
① , ② ,③ 은 앞서 설펴 보았고, 그 이후부터 살펴 본다.
2. 수정전시산표의 작성 (④의 사항입니다. )
1)수정전시산표란?
결산 전 각 계정의 잔액을 구하고 열거하여, 차변 잔액의 총합과 대변잔액의 총합을 구해서 넣습니다.
이것이 수정전 시산표 입니다.
2) 수정전시산표를 작성하는 이유?
- 재무재표 작성 전 차변의 합과 대변의 합을 비교하여 분개시 오류가 있었는지 체크 합니다.
- 수정선시산표를 작성하면 어떤 수정 분개가 필요한지 알 수 있습니다. (계정과목과 잔액을 참고하여..)
3) 다음은 우리가 구한 수정전 시산표 입니다.
[첨부 파일 참조]
3. 수정분개 및 전기 (⑤의 사항입니다.)
~~~~~~~~~~~~~~~~~~~~~~~~~~~~~~~~~~~~~~
우리의 거래 내용을 다시 한번 참조해 볼까요~~^^
1.3일 우리 아기는 5,000원을 투자하여 회사를 만들었다.
1.8일 은행에서 3,000 원을 차입하였다.
1월 12일 외상으로 300원의 컴퓨터를 구입하였다.
1월 23일 디자인을 해주고, 현금 500원을 수취하였다.
1월 27일 차입금 중 1,000 원을 갚았다.
1월 30일 종업원 급료 150원을 지불하였다.
~~~~~~~~~~~~~~~~~~~~~~~~~~~~~~~~~~~~~~
1) 수정분개 및 전기
1월 31일 수정전시산표와 추가의 거래를 분석한 결과 , 다음과 같이
수정 분개해야 함을 발견하였다.
- 1) 컴퓨터의 한달간 감가상각비는 10으로 추정한다.
- 2) 단기차입금에 대한 1월 이자는 25 이며 이는 아직 지급되지 않았다.
- 3) 1월분 임차료 20을 아직 지급하지 않았다.
- 4) 갑상사가 요청한 디자인 용역을 1월 30일 완료, 제공하였으나 대금 350은
아직 받지 못하였다.
이를 분개하면.
-> 1) (차) 감가상각비 10 (대) 감가상각누계액 - 컴퓨터 : 10
-> 2) (차) 이자비용 25 (대) 미지급이자 25
-> 3) (차) 임차료 20 (대) 미지급임차료 20
-> 4) (차)미수용역수익 350 (대) 용역수익 350
이를 반영하여 전기(장부에 기록한다. )하면..
[첨부 파일 참조]
4. 수정후 시산표의 작성 (⑥의 사항입니다.)
수정분개가 반영된 각 계정의 최종 잔액을 구하여 열고하고
차변 잔액의 총합과 대변 잔액의 총합을 다시 비교하여 오류가 없는지를 확인한다.
[첨부 파일 참조]
5. 재무제표의 작성(⑦의 사항입니다. )
수정후시산표로부터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를 작성합니다.
수정후시산표로에서 계정과목을 분리하여 작성합니다.
수익이나 비용에 속하는 계정 -> 손익계산서를 작성
자산, 부채, 자본계정 -> 대차대조표를 작성 합니다.
예외조항이 있으나 일단 개념파악을 중심으로 ^^
1) 손익계산서
2) 대차대조표
3) 현금흐름표
[첨부 파일 참조]
6. 마감분개(closing entries) 및 전기
1) 방법
장부의 마감을 위해 모든 임시계정(수익,비용, 배당금)의 잔액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임시계정을 다른 계정을 사용해서 분개시키면 된다.)
또한 당기순이익을 영구 계정인 이익잉여금 계정으로 대체시킨다 .
7. 마감분개 후(결산후) 시산표
마감분개를 마치면 임시계정(수익, 비용에 속하는 계정)의 잔액은 0이 되고,
순이익에서 배당금을 차감한 액수는 기말이익잉여금에 가산된다.
(전기의 이익잉여금에 반영되어 이번 결산의 결과가 이어진다는 뜻이다. )
기업의 결산이 끝나면 주가가 변동되는 것도 이 이유에서이다.
마감분개를 하고 나면 잔액이 남는 계정은 자산, 부채, 자본에 속하는 계정
(이것은 영구 계정이다. )만이 남게 된다.
이렇게 장부를 정리해 두고 결산마다 이어서 계속적으로 기록을 해야 된다.
1)결산후 시산표
[첨부 파일 참조]
'생활 금융 경제 > 회계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원리 - [9. 계정의 종류 / 세번째 ] (0) | 2015.09.15 |
---|---|
회계원리 - [9. 계정의 종류 / 두번째 ] (0) | 2015.09.15 |
회계원리 - [9. 계정의 종류 / 첫번째 ] (0) | 2015.09.15 |
회계원리 - [8. 계정기입의 사례] (0) | 2015.09.15 |
회계원리 - [7. 계정의 의미] (0) | 2015.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