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장은 실제로 계정을 어떻게 기입하는지 예제들을 살펴본다.
----------------------------------------------------------------------------------------
1. 계정기입 사례
1. 거래의 기록
거래가 발생하면 해당 거래를 분석한다.
어떤 계정과목을 쓸 것인지,
차변에 무엇을 적어야 할 것인지, 대변에 무엇을 적어야 할 것인지..
분석이 끝나면 분개장에 적는다.
그런 다음 총계정원장에 각기 oo계정에 적는다.
거래의 발생 -> 분석 -> 분개장에 기입 -> 총계정원장에 기입
(분개장의 양식은 후에 자세히 설명하고, 여기서는 차변과 대변만 나누어 보자.)
2. 예제
ex 1) 현금 100,000 원을 출자하여 "돼지슈퍼'라는 상점을 시작하였다.
-> 분석 : 현금이라는 자산이 100,000 만큼 증가하는 동시에 자본금이 100,000만큼 증가한다.
거래 8요소 측면에서 살펴보면 자산의 증가(+)와 자본의 증가(+)가 서로 결합된다.
자산(현금)의 증가 <---> 자본(자본금)의 증가
기입의 법칙 :
자산의 증가는 차변에 기입되고 자본의 증가는 대변에 기입된다.
-> 분개장의 차변에 현금 100,000 을 / 대변에 자본금 100,000을 기입
-> 원장의 현금계정 차변에 100,000을 기입 ;; 원장 : 총계정원장
원장의 자본금계정 대변에 100,000원을 기입한다.
<분개장>
(차변)
현금 100,000 | 자본금 100,000
<총계정원장>
현금계정
100,000 |
자본금계정
| 100,000
ex 2) 현금 50,000 원을 주고 영업용 건물을 구입한다.
-> 분석 : 건물이라는 자산이 50,000 만큼 증가하는 동시에 현금이 50,000만큼 증가한다.
거래 8요소 측면에서 살펴보면 자산의 증가(+)와 자산의 감소(-)가 서로 결합된다.
자산(건물)의 증가 <---> 자산(현금)의 감소
기입의 법칙 :
자산의 증가는 차변에 기입되고 자산의 감소는 대변에 기입된다.
-> 분개장의 차변에 건물 50,000 을 / 대변에 현금 50,000을 기입
-> 원장의 건물계정 차변에 50,000을 기입 ;; 원장 : 총계정원장
원장의 현금계정 대변에 50,000원을 기입한다.
<분개장>
(차변)
건물 50,000 | 현금 50,000
<총계정원장>
건물계정
50,000 |
현금계정
100,000 | 50,000 <- 이전 기록에 이어서 적는다.
ex 3) 20,000원짜리 과일셋트를 판매하고 현금 30,000을 받았다.
-> 분석 : 현금이라는 자산이 30,000 증대하면서 매출이라는 수익이 30,000 발생하였다.
또한 상품이라는 자산이 20,000 감소되면서 매출원가라는 비용이 20,000만큼
발생하였다.
자산(현금)의 증가 <---> 수익(매출)의 발생
비용(매출원가)이 발생 <---> 자산(상품)의 감소
기입의 법칙 :
자산의 증가는 차변에 기입되고 수익의 발생은 대변에 기입된다.
비용의 발생은 차변에 기입되고 , 자산의 감소는 대변에 기입된다.
<분개장>
(차변)
현금 30,000 | 매출 30,000
매출원가 20,000 | 상품 20,000
<총계정원장>
건물계정
50,000 |
현금계정
100,000 | 50,000 <- 이전 기록에 이어서 적는다.
30,000
매출계정
| 30,000
매출원가
20,000 |
상ㅇ품
| 20,000
* 거래의 이중성
거래가 발생하면 거래의 8요소중 차변요소 하나(혹은 그 이상)와 대변요서 하나(혹은 그 이상)
가 반드시 결합되는 성질이다.
* 복식부기
발생된 거래는 반드시 2가지 이상의 계정에 기입된다.
이를 회계에서는 복식부기라 부른다.
복식부기(dpuble entry bookkeeping)란 거래의 이중성 개념에 따라 발생된 하나의 거래를
두가지 이상의 계정에 기입하는 기장 방법을 말한다.
'생활 금융 경제 > 회계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원리 - [9. 계정의 종류 / 두번째 ] (0) | 2015.09.15 |
---|---|
회계원리 - [9. 계정의 종류 / 첫번째 ] (0) | 2015.09.15 |
회계원리 - [7. 계정의 의미] (0) | 2015.09.15 |
회계원리 - [6. 회계의 순환과정] (0) | 2015.09.15 |
회계원리 - [5. 거래란 무엇인가?] (0) | 2015.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