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금융 경제/회계원리

회계원리 - [7. 계정의 의미]

by newly everyday 2015. 9. 15.

----------------------------------------------------------------------------------------

7장은 계정에 대해서 살펴 봅니다.

 

계정이란 무엇인가?

계정 기입의 법칙

계정 기입의 사례    

----------------------------------------------------------------------------------------

 

7-1. 계정이란?

 

ex) 사과와 배 그리고  바나나같은 과일을 구입하여 판매하는 경우,

구입한 세가지 종류의 과일을 한 장소에 섞어둔 채로 판매하는 것은 불합리하기

때문에 우리는 사과는 사과 데로, 배는 배데로, 바나나는 바나나데로 구분하여

판매한다. 즉 이렇게 함으로써 과일 각각의 증감변동을 쉽게 파악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기업에서도 현금은 현금끼리, 외상매출금은 외상매출금끼리 모아서 기록한다면

현금과 외상매출금이라는 자산의 증감변동을 쉽게 파알 할 수 있다.

 

* 계정이란 ?

같은 성질의 자산, 부채, 자본, 비용, 수익 등을 한곳에 모으기 위한 과목(혹은 분류)이다.

 

ex) 현금계정 , 외상매출금 계정 , 급여계정, 선수금계성, 임차료계정,

      재고자산계정, 매출계정     

 

*원장(leger) 혹은 총계정원장(general ledger0

여러가지 계정들을 효과적으로 기입하고 조직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하나의 장부에 모으는데

이를 원장 혹은 총계정원장이라고 한다.

 


 

7-2. 계정기입

 

1) 계정과목

계정의 이름을 회계에서는 계정과목 이라고 한다.

 

2) 계정양식

'oo 계정"의 양식은 첨부를 참조

- 타이틀에 ooo 계정이라고 타이틀에 계정과목이 표시된다.

- 항목의 증감 변동을 오른편과 왼편으로 나누어 서로 대비시키고 있다.

  차변(debit ; Dr) : 계정의 왼편 

  대변(credit; Cr) : 계정의 오른편

  차변에 기입하는 것을 차기(借記)라 하고, 대변에 기입하는 것을 대기(貸記)라고 한다.

- 어떤 계정의 차변합계액과 대변합계액의 차이를 계정잔액(account balance)이라고 한다.

  차변합계액 > 대변합계액   이면   잔액은 차변에 생긴다.

  이를 차변잔액(debit balance)라고 한다.    반대의 경우 대변잔액이다.

- 이러한 계정은 전체 모양이 T와 비슷하다 해서 'T계정'이라고도 한다.

 



 

 

3) 계정 기입의 법칙

 

이쯤되면 의문이 생길 것이다.

특정 항목의 증가와 감소를 차변, 대변중 어디다 적어야 할까...

 

이것을 결졍해야 하는데 이를  "계정기입의 법칙"이라 한다.

 

* 계정기입의 법칙

거래분석 후

해당되는 계정과목의 차변과 대변 중

어느 곳에 그 증감변동을 기입하는지에 대한 일련의 규칙

 

계정기입의 법칙은 임의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계등식에 따라 논리적으로 유도된다.

자산 (A) = 자본(K) + 부채(P)   은 우리가 배운 자본 등식이다.

 



- 자산

자산이 증가하면 자본등식의 왼편에 기입한다.

  -> 자산이 증가하면 자산계정의 차변에 기록한다.

자산이 감소하면 자본등식의 오른편에 기입한다.

  -> 자산이 감소하면 자산계정의 대변에 기록한다.

 

- 부채

부채가 증가하면 자본등식의 오른편에 기입한다.

  -> 부채의 증가는 부계정의 오른편에 기입한다.

부채가 감소하면 자본등식의 왼편에 기입한다.

  -> 부채의 감소는 부채계정의 왼편에 기입한다.

 

- 자본

(부채와 같다. )

 

- 수익과 비용

수익은 소유자지분을 증대시키는 것이고, 비용은 소유자지분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수익의 발생은 자본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자본처럼 취급한다.    , 비용은 그 반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