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 항공, 숙박/항공 용어

[ 용어 ] CRS(Computerized Reservation System)란

by newly everyday 2018. 9. 12.

가. CRS(Computerized Reservation System)란?

전산 단말기를 통해 항공편의 예약, 발권은 물론 항공 운임 및 기타 여행에 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System을 말한다. 과거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복잡한 예약, 발권 업무를 CRS가 대체하면서 여행사 직원들은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업무 수행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항공여객의 증가와 맞물려 그 중요성이 더해가고 있다.



나. CRS의 시작

CRS의 시작은 1964년 American Airlines(AA)이 사내 항공예약 시스템의 전산화를 목적으로 IBM과 개발한 SABRE(Semi Automated Business Research Environment) 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1970년대에 들어 전산화된 항공예약 시스템이 여행사에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1975년 SABRE의 성공에 자극을 받아 United Airlines(UA)의 APOLLO를 시작으로 SYSTEM-ONE, PARS, DATAS 등 주요 CRS들이 잇달아 개발되면서 본격적인 CRS 경쟁 체제에 돌입하게 되었다.



다. CRS의 중립성(Neutrality)

여행사에 보급되는 CRS가 특정 항공사에 유리하도록 화면 구성을 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CRS의 중립성(또는 비차별성)이라 한다. 초기 CRS가 항공사의 업무 편이를 위해 개발, 보급되었기 때문에 CRS 소유 항공사들이 자사 항공편 위주로 정보를 제공하였고 이는 CRS를 소유하지 못한 항공사와의 판매우위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사 항공권 판매 수단으로서의 CRS 정책이 다양한 소비자의 선택권 박탈로 이어지자 1984년 미국 교통부에서는 이러한 행위들의 불합리함을 인정하여 항공사 간 공정경쟁을 보장하고 소비자 보호를 목적으로 CRS 관련 법규를 제정, 공표하게 되었다. 이 법률에 따라 화면차별행위가 금지되면서 각 CRS는 자사 항공권 판매 도구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으며, 이 시기부터 CRS 사업은 항공사와 분리됨은 물론 새로운 고부가가치 사업으로서의 독자적인 길을 걷게 되었다.



라. CRS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CRS는 항공업무의 전산화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고유 업무에만 국한되지 않고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미 항공예약발권 기능 외에 Rent-a-Car, Hotel 등의 부대예약 기능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Back Office 기능(항공예약발권관련 사무지원 등의 부대기능)까지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정보기술의 발전과 여행산업의 성장과 맞물려 버스, 철도, 공연, 스포츠 등 여행/레저에 관계된 모든 분야를 연결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전산 시스템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출처 : Topas 항공예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