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TTA
미국의 전화 사업자인 LEC(Local Exchange Carrier)의 시내 전화 회선과 장거리 통신 사업자인 IXC(Inter Exchange Carrier)의 장거리 회선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의 회선이 상호 접속하는 위치.
LEC는 LATA라는 서비스 구역 내에서는 시내 전화, 시외 전화 및 데이터 서비스를 독점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나, LATA의 경계를 벗어나는 장거리 통신은 IXC나 ISP의 경쟁적 서비스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LEC에는 금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LATA 내에는 상호 접속 위치(POP)가 지정되어 있어서 이곳에 LEC의 시내 회선과 IXC의 장거리 회선이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호 운용되게 하는 상호 접속점(POI)과 ISP의 주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ISP의 노드가 설치된다. ISP의 주 컴퓨터에 접속하게 해 주는 노드인 POP에는 1대의 디지털 서비스 장치/채널 서비스 장치(DSU/CSU), 단말 서버, 라우터가 설치되고 주 컴퓨터가 설치되기도 한다.
LEC는 LATA라는 서비스 구역 내에서는 시내 전화, 시외 전화 및 데이터 서비스를 독점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나, LATA의 경계를 벗어나는 장거리 통신은 IXC나 ISP의 경쟁적 서비스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LEC에는 금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 LATA 내에는 상호 접속 위치(POP)가 지정되어 있어서 이곳에 LEC의 시내 회선과 IXC의 장거리 회선이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호 운용되게 하는 상호 접속점(POI)과 ISP의 주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ISP의 노드가 설치된다. ISP의 주 컴퓨터에 접속하게 해 주는 노드인 POP에는 1대의 디지털 서비스 장치/채널 서비스 장치(DSU/CSU), 단말 서버, 라우터가 설치되고 주 컴퓨터가 설치되기도 한다.
디지털 서비스 장치/채널 서비스 장치ISPDSU/CSU장거리 회선상호 접속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데이터 서비스POP
'IT, 정보통신 > IT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說明可能-人工知能,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0) | 2022.11.13 |
---|---|
[용어] 그래프형 데이터베이스 (1) | 2022.11.13 |
[용어] 양자암호통신, Quantum Cryptography Communication (0) | 2022.10.29 |
[용어] 스마트 오더, Smart Order (0) | 2022.10.08 |
[용어] 스니핑 (0) | 2022.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