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제어하는 자원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클라우드 배포 모델.
컴퓨팅 환경을 누가 운영하고 어떻게 이용하는가의 배포 모델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을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등과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비용을 받고 서비스로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형태를 말한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클라우드의 운영을 직접 책임지지 않아도 되지만 특정 사업자에게 종속될 위험이 있다. 반면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데이터의 외부 저장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기업이 독자적으로 구축·운영하여 기업 내부에서만 사용한다.
컴퓨팅 환경을 누가 운영하고 어떻게 이용하는가의 배포 모델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을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등과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비용을 받고 서비스로 클라우드를 제공하는 형태를 말한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클라우드의 운영을 직접 책임지지 않아도 되지만 특정 사업자에게 종속될 위험이 있다. 반면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데이터의 외부 저장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기업이 독자적으로 구축·운영하여 기업 내부에서만 사용한다.
출처 : TTA 용어사전
'IT, 정보통신 > IT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전자식 매대 표시기, 電子式賣臺標示器, Electronic Shelf Label, ESL (0) | 2022.11.20 |
---|---|
[용어] 데이터 과학, -科學, data science (0) | 2022.11.13 |
[용어] 인터넷 데이터 센터, Internet Data Center, IDC (0) | 2022.11.13 |
[용어] 증강 분석, 增强分析, augmented analytics (0) | 2022.11.13 |
[용어]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說明可能-人工知能,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0) | 2022.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