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라인 협정
다수의 항공사가 항공권 예약, 판매, 운송, 정산에 대한 체결하는 협정으로 어느 항공사를 통해서도 다른 항공사 구간을 예약하고 탑승할 수 있으며 수하물 또한 환승 공항에서 자동으로 연결되는 장점이 있다.
인터라인 운송 계약 / 인터라인 정산 계약
으로 나누어 살펴보자.
* 인터라인 운송 계약 (Interline Traffic Agreement)
한 개의 항공사가 가진 항공 스케줄이 한계를 보완하고 타 항공사 판매망을 통해 자사 구간 판매를 증대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다른 항공사와의 (연결) 판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항공사간의 기본 계약을 인터라인 운송계약이라 한다.
다른 항공사 Booking Class 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항공사와의 '인터라인 운송계약'이 맺어져 있어야 한다.
이 운송계약을 맺은 항공사 대다수는 서로 항공편을 발행할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따라서 승객은 어느 항공사 매표소, 사무소, 영업소에서 (운송계약을 맺은) 다른 항공사의 항공편 예약, 발권, 구입할 수 있게 된다.
발권, 운송, 정산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계약 형태상 MITA(Multilateral Interline Traffic Agreement), BITA(Bilateral Interline Traffic Agreement) 로 구분된다.
* 인터라인 정산 계약 (Interline Proration Agreement)
인터라인 정산이란, 여객 항공권 상에 적용된 운임 또는 초과 수하물요금을 일정 Rule(규칙)에 의거해서 운송에 참가한 항공사간 몫으로 배분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해 다자 혹은 쌍방 항공사간 체결되는 정산계약을 맺어야 한다.
MPA(Multilateral Prorate Agreement)
IATA 에서 관장하는 다자간 정산계약(협정)으로 일반적인 정산 규정이다. 항공사 양자간 특별 정산계약(SPA)가 없는 한, 운송계약이 체결된 모든 항공사와의 인터라인 판매는 MPA 로 정산한다.
SPA(Special Prorate Agreement)
MPA 와 달리 이해 관계가 일치하는 두 항공사가 별도로 맺는 정산계약(협정)이다.
댓글